상하이 4

홍췐루(虹泉路, Hongquan Road)📍 상하이 한인 밀집 지역을 가봅시다.

상하이에서 한국인들이 많이 모여 있는 거리는 홍췐루(虹泉路, Hongquan Road)와 롱바이(龙柏, Longbai) 지역이에요. 이곳은 한국 음식점, 한인마트, 신한은행 같은 한국 관련 시설이 많아 **“상하이 한인타운”**이라고 불려요.📍 상하이 한인 밀집 지역: 홍췐루 & 롱바이✔️ 위치: 상하이 민항구(闵行区)✔️ 교통: • 지하철 10호선 “롱시루역(龙溪路站)” • 홍췐루, 롱바이 지역까지 택시 또는 도보 이동 가능🔹 홍췐루(虹泉路) – 상하이 대표 한인타운✅ 한국 음식점, 카페, 한인마트, 미용실, 학원 등이 많음✅ 신한은행, 우리은행, 국민은행 등 한국 은행 지점 있음✅ 한국 슈퍼마켓(한남마트, 올리브 마트 등)에서 한국 식재료 쉽게 구할 수 있음✅ 한국 스타일의 노래방, PC방, 호프..

중국 2025.03.06

상하이 예원(豫园, Yuyuan Garden) 여행 가이드 📍 위치: 상하이 황푸구(黄浦区) 📍 특징: 400년 역사의 중국 전통 정원

1️⃣ 예원의 역사: 명나라 시대에 지어진 전통 정원🔹 건립 배경 • 명나라(明朝) 후기인 1559년, 관료였던 **판윤둥(潘允端)**이 부모님을 위해 건설한 개인 정원이었어요. • ’예원(豫园)’이라는 이름은 **“평안과 즐거움을 주는 정원”**이라는 뜻을 가짐.🔹 청나라 시대 이후 변화 • 명나라 멸망 후, 청나라(清朝) 시대에는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되며 상하이의 대표적인 전통 정원으로 자리 잡음. • 이후 프랑스 조계지 시기(19세기)와 태평천국 운동 때 전쟁으로 훼손되었으나, 20세기 중반 복원되어 오늘날의 모습이 됨.2️⃣ 예원의 현재 모습: 중국 전통 정원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명소현재 예원은 중국 고전 정원의 대표적인 예시로 남아 있으며, 연못, 정자, 다리, 바위산 등 전통적인 요소가 잘..

중국 2025.03.06

**Wulixiang Museum(屋里厢博物馆)**은 상하이 신톈디(Xintiandi) 근처에 있는 작은 박물관

Wulixiang Museum이란? • **“Wulixiang(屋里厢)”**이라는 단어는 상하이 방언으로 **“우리 집 안”**을 뜻해요. • 박물관의 컨셉도 이에 맞춰 20세기 초반 상하이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재현한 곳이에요. • 전시된 가구, 생활 용품, 사진 등을 통해 옛날 상하이 시민들의 삶을 엿볼 수 있어요.박물관 특징 1. 상하이 석고문(石库门, Shikumen) 주택 내부 재현 • 신톈디 지역의 전통적인 석고문 건축 양식을 기반으로, 옛 상하이 가정집을 그대로 복원했어요. • 과거 상하이 중산층 가정에서 사용하던 가구, 장식품, 주방용품 등을 볼 수 있어요. 2. 레트로 감성의 전시 • 1920~30년대 상하이 사람들의 옷, 신문, 포스터, 옛날 상표 등 다양한 생활 소품이 전시되어 있어요..

중국 2025.03.05

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적지(大韩民国临时政府旧址)와 그리고 신톈디(Xintiandi, 新天地)

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적지(大韩民国临时政府旧址) 여행 가이드📍 위치: 중국 상하이(上海) 황푸구(黄浦区) 마당루(马当路) 306농 4호📍 특징: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중심지였던 역사적 장소1️⃣ 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적지의 역사🔹 대한민국 임시정부(1919~1945)의 설립 배경• 1919년 3·1운동 이후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기 위해 대한민국 독립운동가들이 중국 상하이에 모여 **1919년 4월 11일 “대한민국 임시정부”**를 수립함.•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중국 상하이를 거점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하며, 한국 역사상 최초의 민주공화정 정부로 기능함.🔹 상하이에 세워진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• 임시정부는 여러 번 위치를 옮겼지만, **1932~1937년까지 가장 오랫동안 머물렀던 장소가 바로 현재..

중국 2025.03.05